2014년 6월 30일 월요일
ink-jet 프린트 태양전지
2014년 6월 28일 토요일
대면적 나노 패터닝 기술
2014년 6월 27일 금요일
태양전지 제조에 있어서 돌파구가 10년 안에 값싼 에너지를 약속하다
흡수층을 나노구조화 하기
2014년 6월 26일 목요일
태양전지 후면 나노구조
참고: Light management for photovoltaics using high-index nanostructures, Mark L. Brongersma, et al., Nature Materials, published online: 22 April 2014⎜DOI: 10.1038/NMAT3921
나노구조가 태양전지 전면(front surface)에 있는 경우
2014년 6월 25일 수요일
나노구조 광포획 층
페로브스카이트는 태양전지 산업에서 새로운 진주다
(페로브스카이트는 독특한 구조를 가진다. 큐빅의 중앙에 Pb 원자가 있고 각 면 중앙에 I 원자가 있고 각 꼭지점에 NH3 이온이 있다.)
2014년 3월 Yang Yang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서 효율 19.3%을 달성 했다고 발표했다.
2014년 6월 24일 화요일
유기 태양전지 제조에서 중요한 단계를 달성하다
덴마크의 과학자들은 세계 최초로 roll-to-roll 공정이 가능한 플렉서블 텐덤 유기 태양전지 모듈을 개발했다.
유기 태양전지는 저효율과 단수명이 문제점인데 새로운 재료, 공정 기술, 그리고 소자 아키텍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텐덤 구조는 다수의 접합을 서로 스택한 것인데 태양광 스펙트럼의 넓은 영역에서 포톤을 이용하기 위해 상호 보완적인 광흡수 재료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구조는 너무 복잡해서 상업용으로 셀을 제조하기가 힘들다.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의 과학자들은 14층으로 스택된 텐덤 유기 태양전지 모듈을 제조했다. 각 층은 이전 층 위에 인쇄기를 닮은 기계로 매우 빠르게 프린팅되거나 코팅되거나 증착되었다.
그들의 유기 태양전지의 효율은 낮은데 유기 태양전지의 상용화를 위한 roll-to-roll 공정을 데모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참고: http://www.rsc.org/chemistryworld/2014/06/roll-roll-flexible-organic-tandem-solar-cells
2014년 6월 23일 월요일
나노입자를 만드는 새로운 방법이 태양전지 제조에 도움이 될 것이다
Sandia National Laboratories의 연구자들은 TiO2 나노입자를 새로운 방법으로 만들었다.
TiO2 나노입자는 충진제(filler)로써 태양전지와 LED을 위한 반사방지층의 굴절률을 튜닝 할때 사용된다.
종래의 충진제는 Si 나노입자였다. TiO2 나노입자는 만들기 힘들고 비싸기 때문에 적용 힘들었다.
현재의 TiO2 제조방법은 종종 고온 공정과 비싼 계면활성제가 필요하다 - 계면활성제의 분자가 TiO2의 표면과 결합하여 어떤 용매에 용해될 수 있게 하는데 퐁퐁이 접시의 기름 때를 제거하는 원리와 같다.
또한 입자 분포가 균일하지 않고 입자끼리 한덩어리 뭉쳐져 있는 경우가 있다.
이번 개발품인 TiO2 나노입자는 크기가 거의 균일하고 서로 뭉쳐지지 않는다.
그들의 TiO2 나노입자의 크기는 5nm정도인데 거의 산란이 없다. 산란은 광 투과율을 감소시킨다.
TiO2은 Si 처럼 광학 봉지재와 렌즈를 위한 재료의 굴절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굴절률은 빛을 구부러뜨리게 하는 물질의 능력이다.
실용적인 나노입자는 여러 종류의 용매에 용해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계면활성제와 어울릴 수 있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서로 다른 응용이 서로 다른 용액 공정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시실 TiO2 나노입자를 다양한 폴리머와 같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TiO2 나노입자가 다양한 용매에 분산될 수 있으면 좋다.
연구자들은 값싼 다양한 알코올 용매를 사용해서 Ti 소스(titanium isopropoxide)를 얻을 수 있는지 연구했다.
여기서 문제는 Ti 소스에 물을 첨가하면 빠른 반응으로 인해 TiO2의 나노입자가 아닌 자주 TiO2의 큰 덩어리가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첨가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반응을 컨트롤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들은 끈질긴 노력 끝에 물을 매우 천천히 첨가 하여 알코올 희석 조건을 찿았다.
참고: http://dailyfusion.net/2014/06/titanium-dioxide-nanoparticles-29624/
2014년 6월 15일 일요일
나노구조 반사 방지 코팅
참고: Light management for photovoltaics using high-index nanostructures, Mark L. Brongersma, et al., Nature Materials, published online: 22 April 2014⎜DOI: 10.1038/NMAT3921
2014년 6월 12일 목요일
양자점에서 돌파구가 값싼 스프레이 태양전지를 앞당긴다
2014년 6월 4일 수요일
고굴절률 나노 구조
-
4.1. 전기적 특성 4.1.1. 내부 확산 전위(built-in potential) p-n 접합으로 생성된 내부 확산 전위는 광에 의해 생성된 전자-홀쌍을 분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결...
-
3.1. 광흡수 광자의 에너지는 hν이다. h는 Plank 상수이고 ν는 빛의 주파수이다. 포톤 에너지와 파장 λ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hc 1.2398 λ(u...
-
ㄱ ☉ 광결정(반사면) : 광결정은 빛의 파장보다 작은 형태를 갖는 주기적인 구조이고 반사면으로 이용된다. 광결정은 태양전지에서 바닥층과 중간층에 적용된다. 반사면은 Si 내부에서 빛을 사방으로 되튀기게하여 빛이 전기로 ...